서울 강동구 성내2동, 동작구 사당4동, 강북구 인수동 등 9곳에서 도시재생 사업이 이뤄진다. 시는 이들 지역에 향후 5년간 마중물 사업비 6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저층 주거지 도시재생을 위한 ‘2018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9곳을 확정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근린재생일반형 5곳, 주거환경개선사업 후보지 4곳 등이다. 모두 저층 주거지 재생사업 지역이다.

5년간 지역당 총 100억원이 지원되는 근린재생일반형 지역은 강동구 성내2동 일원 42만㎡, 동작구 사당4동 일원 38만㎡, 강북구 인수동 416 일원 36만6551㎡, 성동구 송정동 일원 20만3698㎡, 도봉구 도봉동 625 일원 7만2115㎡ 등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 후보지는 주민 동의 50%를 확보해야 한다. 이후 구역 지정을 완료하면 예산을 지원받아 사업에 착수할 수 있다. 3년간 지역당 20억~40억원을 지원한다. 후보지는 은평구 신사동 184 일대 6만694㎡, 성북구 정릉동 894 일대 5만5812㎡, 구로구 개봉동 288의 7 일대 3만6450㎡, 중랑구 면목동 1075 일대 1만9000㎡다. 이들 9곳은 1년여간의 주민 역량 강화 등 준비 기간을 거친 희망지사업 지역이다. 희망지사업은 지난 도시재생 1단계 사업 시 발생한 사업 지연 등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서울시가 2016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 도시재생 추진 주체인 주민 스스로 재생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6개월~1년 준비 기간을 거친다.
기사 원문